영국의 부동산 공부를 하다가, 특히 플랏 매물을 확인하다보면 리스홀드와 프리홀드라는 단어가 보이더라고요.
그래서 한번 알아보니, 부동산 소유권에는 리스홀드(Leasehold)와 프리홀드(Freehold)라는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더라고요. 이 둘의 차이는 소유권의 범위와 권리에 따라 결정됩니다.
1. 리스홀드 (Leasehold)
• 리스홀드는 토지 소유주(프리홀더) 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건물이나 토지의 사용 권리를 임대받는 형태입니다.
건물 자체는 소유하지만, 땅은 프리홀더의 소유입니다.
• 특징:
1. 임대 기간
계약서(리스)에 명시된 기간 동안만 소유권을 갖습니다.
일반적으로 99년, 125년, 250년, 때로는 999년 등이 있습니다.
2. 임대 연장:
리스 기간이 짧아질수록 부동산 가치가 떨어지므로, 필요시 리스 기간을 프리홀더와 협의해 연장해야 합니다
(비용 발생).
3. 관리비와 지대:
공용 구역 유지 비용(service charges)과 지대(ground rent)를 매년 프리홀더에게 지불해야 합니다.
4. 수정 제한:
부동산을 개조하거나 변경할 때 프리홀더의 승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2. 프리홀드 (Freehold)
• 프리홀드는 건물과 토지 모두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는 형태입니다.
즉, 영구적으로 해당 부동산을 소유하고, 누구에게도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습니다.
• 특징:
1. 영구 소유:
시간이 지나도 소유권이 만료되지 않으며, 자녀 등에게 상속 가능합니다.
2. 관리 책임:
부동산 유지 및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이 소유자에게 있습니다.
3. 추가 비용 없음:
지대나 관리비를 지불하지 않습니다(단, 공용 부지 등이 포함된 경우 예외일 수 있음).
3. 주요 차이점 요약

아래 첨부된 바와 같이,매물이 시세대비 너무 저렴하면 리스홀드100년 이하 매물들이 더러 있더라고요.
반대로 시세대비 조금 높거나 정 시세가격을 지닌 건물은 100년이상 되었고 서비스차지도 좀 더 비싸더라고요.


4.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?
• 프리홀드가 유리한 경우:
- 장기적으로 집을 소유하고 싶은 경우.
- 관리비나 지대 같은 추가 비용을 피하고 싶은 경우.
• 리스홀드가 유리한 경우:
- 플랏(아파트)을 구매하는 경우. 대부분의 아파트는 리스홀드 형태로 거래됩니다.
- 상대적으로 초기 구매 비용이 적은 경우가 많아 예산이 제한적일 때 적합.
5. 추가 팁
• 리스 기간 확인:
리스홀드의 경우 남은 리스 기간이 80년 미만이면 가치를 빠르게 잃기 시작하므로 리스 연장 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.(간혹 플랏 매물중 Leasehold가 25년, 0년 도 있는데 이런 물건은 구매하지 않는 방향으로!)
• 계약 조건 확인:
리스 계약서에 관리비, 지대, 리스 연장 조건 등을 명확히 이해하고 구매하세요.
(건물마다, 서비스차지 관리비등 매년 내야하는 금액이 매우 상이하니 충분히 알아봐야 해요!)
'3. 부동산이야기 > 런던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런던 부동산, 집 형태부터 차근차근 알아보자 (0) | 2025.03.04 |
---|